반응형

예비 ·중학생이 입학하기 전에 해야하는 예방접종에 대해 알아 보겠습니다.

영유아 시기에는 예방접종을 시기에 맞게 했지만 아이들이 커가다 보면 소흘해 지는 부분이 있습니다.

하지만 예비 ·중학생도 접종해야 할 것이 많이 있습니다.

 

예비 초등학생

- DTaP 5차

- IPV 4차

- MMR 2차

- 일본뇌염

 

예비 중학생

- Tdap(또는 Td) 6차

- 일본뇌염(불활성화 사백신 5차 또는 약독화 생백신 2차)

- HPV 1차(여학생만 대상)

 

 

질병관리청과 교육부는 학생들의 감염병 예방과 건강 보호를 위해 초·중학교 입학 전에 필수예방접종을 완료할 것을 권고하고 있습니다.

병원 방문전에 '예방접종도우미(https://nip.kdca.go.kr)' 또는 앱을 통해 아이들의 예방접종 내역을 확인한 방문하셔야 합니다.

예방접종도우미

예방접종 도우미 사이트에서 로그인하면 '예방접종관리 - 자녀 예방접종 내역조회, 자녀 예방접종 일정보기' 에서  확인이 가능합니다.

 

세계보건기구(WHO)는 코로나19 유행 동안 예방접종 대상 감염병이 확산되지 않도록 지속적인 예방접종 실시 원칙을 제시하는 임시 지침을 지난해 3월 발표했습니다.

 

이 발표에 의하면 예방접종이 중단될 경우 홍역과 같은 예방접종 대상 감염병의 발생 가능성이 높아질 수 있어 감염병 유행 예방을 위해 집단면역 형성이 가능한 예방접종률 유지가 중요하므로 보호자들은 코로나19 상황에서도 예방접종을 중단하지 말고 예방접종을 적기에 완료하기를 권고했고 정은경 질병관리청장과 유은혜 부총리 겸 교육부장관은홍역, 유행성이하선염 등의 예방접종을 완료하지 않은 경우 예방접종 대상 감염병 전파에 취약하므로 표준예방접종일정에 따라 접종을 완료하고 입학해줄 것을 당부했습니다.

 

DTaP(디프테리아·파상풍·백일해)

- 디프테리아균(Corynebacterium Diphtheriae)에 의해서 발생하는 급성, 독소(toxin) 매개성 호흡기 감염병입니다. 디프테리아는 열대지방에서 상대적으로 발생율이 높으나 전 세계적으로 디프테리아 발생은 매우 드물며, 예방접종으로 국내에서는 1987년 이후 환자가 발생하고 있지 않습니다.

- 파상풍균(Clostridium tetani)이 생산하는 독소에 의해 유발되는 급성질환으로 골격근의 경직과

근육수축이 발생하는 질병입니다.

- 백일해균(Bordetella pertussis)에 의한 호흡기 감염 질환입니다. 여름과 가을에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며 전염성이 매우 높아 가족내 2차 발병률이 80%에 달합니다

IPV

- 폴리오바이러스(Poliovirus) 감염으로 인해 소아에게 하지 마비를 일으키는 질병이며 흔히 소아마비로 알려져 있습니다. 예방접종으로 국내에서는 1983년 이후 환자가 발생하지 않고 있습니다.

MMR (홍역·유행성이하선염·풍진)

- 홍역은 전 세계적으로 유행하는 급성 발진성 바이러스 질환으로 전염성이 매우 높은 급성 유행성 감염병입니다.

이전에는 소아에서 생명을 위협하는 주요 질병이었지만 백신이 개발된 이후 그 발생이 현저히 감소하였습니다.

하지만 일부 개발도상국가에서는 아직도 흔히 발생하고 있습니다. 국내에서는 2001년 대유행 이후로는 환자가 급격히 감소하였고, 우리나라는 36개월 이상 토착형 홍역바이러스에 의한 환자발생이 없고, 높은 홍역 예방접종률과 적절한 감시체계 유지, 유전자형 분석결과 등 세계보건기구의 홍역퇴치인증기준을 달성하여 2014년 홍역퇴치인증을 받았습니다. 최근 국내에서 보고되는 환자들은 대부분 국외에서 감염된 사례로 확인되고 있습니다.

- 유행성이하선염 '볼거리'라고도 하며, 귀 아래의 침샘이 부어오르고 열과 두통이 동반되는 전염성 바이러스 질환입니다.

- 풍진은 발진, 림프절염을 동반하는 급성 바이러스성 질환입니다. 임신 초기의 임신부가 풍진에 감염될 경우 유산을 하거나 태아에게 선천성 기형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일본뇌염
 

- 일본뇌염은 일본뇌염 바이러스(Japanese encephalitis virus)에 의한 인수공통감염병으로 작은빨간집모기에 의해 감염되어 뇌염을 일으키는 질환입니다. 일단 일본뇌염에 걸리면 특별한 치료방법이 없으므로 예방이 최선입니다.

 

Tdap(디프테리아·파상풍·백일해)

- 디프테리아균(Corynebacterium Diphtheriae)에 의해서 발생하는 급성, 독소(toxin) 매개성 호흡기 감염병입니다. 디프테리아는 열대지방에서 상대적으로 발생율이 높으나 전 세계적으로 디프테리아 발생은 매우 드물며, 예방접종으로 국내에서는 1987년 이후 환자가 발생하고 있지 않습니다.

- 파상풍균(Clostridium tetani)이 생산하는 독소에 의해 유발되는 급성질환으로 골격근의 경직과

근육수축이 발생하는 질병입니다.

- 백일해균(Bordetella pertussis)에 의한 호흡기 감염 질환입니다. 여름과 가을에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며 전염성이 매우 높아 가족내 2차 발병률이 80%에 달합니다.

 

HPV

- 사람유두종바이러스는 생식기 감염을 일으키는 가장 흔한 원인 병원체 중 하나로, 지속감염 시 HPV 관련 암(자궁경부암, 외음부암, 항문암, 두경부암 등)과 그 전암병변, 생식기 사마귀, 재발성 호흡기 유두종증 같은 질환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예방접종 더 자세히 알아보기(https://nip.kdca.go.kr/irgd/index.html)

 

반응형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