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12월 10 공인인증 제도가 폐지 되었습니다. 공인인증 제도가 폐지되면 앞으로 인증방법은 어떻게 되는 걸까요?
2021년 부터 달라지는 공인인증 방식에 대해 알아 보겠습니다.
'공인 인증서'는 완전히 사라지는 것이 아니라 '공동 인증서'로서 금융거래 등 기존 사용처에서 그대로 사용이 가능다고 합니다.
그러니 당장 못쓰는것이 아니니 너무 걱정하지 않아도 될 것 같습니다.
공인인증 제도가 폐지 되는 것이기 때문에 지금까지 공인인증서가 독점하고 있던 자리를 '공동 인증서', '민간 인증서'중 선택 사용이 가능 해진 것입니다.
지난 21년간 공인인증서는 높은 보안을 요구하는 금융, 민원 발급 등에 널리 이용돼 왔습니다.
필수 사용이기 때문에 인터넷, 모바일 서비스 이용시 필수 사항이고 Windows 가 설치된 PC에서 관련 ActiveX를 설치 해야만 사용이 가능했습니다.
뿐만 아니라 보안성이 뛰어난 대신 (재)발급, 유효기간, 비밀번호 입력 등에서 적잖은 불편함이 있었습니다. 특히 PC와 스마트폰에 익숙하지 않은 중장년층, 어르신들에게 공인인증서는 사용이 어려웠습니다.
그래서 아직도 폰뱅킹등을 이용하시는 분들도 많이 있습니다.
하지만 2021년 부터는 민간인증(PASS, 카카오, 네이버등)에 가입되어 있다면 누구나 쉽게 인증 가능합니다.
민간 인증의 가장 큰 장점은 별도 프로그램 설치 없이 사용이 가능하고 생체인증 또는 PIN등 간편 비밀번호 설정 하여 사용이 가능 하다는 것입니다.
생체인증 등의 2팩터 인증을 사용하기 때문에 안정적인 사용이 가능 할 것이라고 예상됩니다.
인증서의 종류
공동인증서 |
발급기관: 금융결제원, 코스콤 등 |
은행이나 카드사, 모바일뱅킹 |
금융인증서비스 |
플랫폼 연계 서비스 |
PASS 인증서 네이버 인증서 발급기관: 네이버
발급기관: NHN페이코
발급기관: 비바리퍼블리카 |
※ 인증서마다 이용방법, 금융회사·금융거래별 이용범위 등이 다르므로 자신에게 맞는 인증서를 미리 알아보시고 선택하실 필요가 있습니다.
전자서명법 개정에 따른 변화를 국민들이 조기에 체감할 수 있도록 내년 1월부터 홈텍스 연말정산 간소화서비스(국세청), 정부24 연말정산용 주민등록등본 발급서비스(행안부), 국민신문고(국민권익위원회) 등 주요 공공웹사이트에 민간 전자서명 도입을 적용할 계획이라고 합니다.
이를 위해 지난 9월 ‘공공분야 전자서명 확대 도입을 위한 시범사업’을 착수했고 카카오(카카오인증), KB국민은행(KB스타뱅킹), NHN페이코(페이코), 한국정보인증(삼성PASS), 통신3사(PASS) 등 5개 사업자를 후보 사업자로 선정했다. 향후에는 물리적·기술적·관리적 보안사항을 점검한 후 사업자를 최종 확정할 예정이라고 합니다.
인증사 별로 보안인증의 인증유효기간이 다르기 때문에 잘 확인 하시고 내가 주로 사용하는 인증수단을 사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