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오는 10월 1일 국군의 날이 임시공휴일로 지정되었습니다. 직장인 모두 10월 달력을 꺼내서 휴일 계산을 시작해야 할 것 같습니다. 10월 3일 개천절, 10월 9일 한글날 포함해서 휴가를 잘 쓴다면 최대 며칠까지 쉴 수 있을까요? 남은 연차를 잘 계산해야 하는 순간이 되었습니다. 연말 여행을 위해 연차를 아껴두고 있었다면 이번이 좋은 기회가 될 수 도 있습니다. 10월 초에 몰려 있는 징검다리 연휴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공휴일-연차-잘쓰면-16일

 

최대 16일 연속 휴가?

징검다리 연휴에 맞추어 휴가를 9월 30일(월), 10월 2일(수), 4일(금), 7일(월), 8일(화), 10일(목), 11일(금) 7일을 쓸 수 있다면 최대 16일간의 장기 휴가가 가능합니다. 만약 그게 불가능하더라도  9월 30일(월), 10월 2일(수), 4일(금)만 연차를 쓰더라도 9일간의 휴가를 즐길 수 있습니다. 

  • 9월 30일(월), 10월 2일(수), 10월 4일(금)에 연차를 사용하면 9일 연속 휴가
  • 10월 7일(월), 10월 8일(화)까지 연차 사용하면 12일 연속 휴가,
  • 10월 10일(목), 10월 11일(금)까지 연차를 쓰면 16일 연속 휴가

 

임시공휴일-국군의날-10월1일

 

어디까지 가능할까?

하지만 이렇게 연차를 사용할 수 있는 직장은 많지 않다는 것이 현실입니다. 연차 사용에 대한 회사의 방침이나 업무 상황에 따라 연차 사용이 어려울 수 있기 때문입니다.  위 적용된 날짜에 휴가를 쓸 수 있는 여건의 회사더라도 업무의 효율성을 위해 모두 같은 날 쉴 수는 없습니다.  먼저 회사의 규정과 남은 연차를 잘 계산해 보고 효율적으로 연차를 쓸 수 있도록 계획을 세워야 할 것 같습니다.

 

반응형

 

이번에 임시공휴일로 지정된 10월 1일 국군의 날은 여러 가지 이유가 있겠지만 직장인에게는 휴일이 하루 늘어난 효과가 있습니다. 그것도 퐁당퐁당 징검다리 연휴입니다. 이제 휴일 + 연차를 어떤 게 계획 세워서 쓸 것인지가 중요합니다. 국군의 날, 개천절로 인해 10월 1주는 징검다리 연휴이기 때문에 휴가를 쓰지 않더라도 충분히 휴일을 즐길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지금까지 10월 1일 국군의 날이 임시공휴일로 지정되면서 직장인으로 생각해봐야 하는 최대 휴가기간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며칠까지 쉬실 건가요?

반응형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