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985년 유통기한이 도입된 이후 우리는 줄곧 유통기한이 지난 음식을 먹을 수 없다고 오해하고 살았습니다. 하지만 2023년 1월 1일부터는 국내에 유통되는 식품에 소비기한이 표시됩니다. 소비기한은 음식물을 먹어도 안전에 이상이 없는 기간을 의미합니다. 오해로 인해 폐기되는 식품을 줄이는 등 경제적 사회적인 문제를 줄이기 위해 도입될 에정에 있는 소비기한 제도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소비기한에 대해 바로알기
식품에 표시되는 날짜
식품에는 제조일자, 품질유지기한, 유통기한, 소비기한 등의 날짜가 표시됩니다. 이런 날짜들의 정의를 확인해 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 제조일자 : 포장을 제외한 더 이상의 제조나 가공이 필요하지 아니한 시점
- 품질유지기한 : 식품의 특성에 맞는 적절한 보존 방법이나 기준에 따라 보관할 경우 해당 식품 고유의 품질이 유지될 수 있는 기한
- 유통기한 : 제품의 제조일로부터 소비자에게 판매가 허용되는 기한
- 소비기한 : 식품 등에 표시된 보관 방법을 준수할 경우 섭취하여도 안전에 이상이 없는 기한
습관적으로 유통기한만 확인하게 되는데요 제조일자, 유통기한 이제는 소비기한까지 꼼꼼히 체크해야 합니다. 아직 시행되지 않았지만 일부 제품에서는 유통기한과 소비기한을 같이 표시하고 있습니다.
유통기한보다 소비기한의 기간이 더 길다?
유통기한은 보통 식품의 품질 변화가 발생하는 시점 기준으로 60~70% 정도 앞선 기간으로 설정하고, 소비기한은 같은 기준으로 80~90% 앞선 수준에서 설정하므로 유통기한보다 소비기한의 기간이 더 길게 표시됩니다. 하지만 식품의 유통과 보관 방법이 소비기한에 영향을 줄 수 있다고 합니다.
유통기간 VS 소비기한
다음은 개봉하지 않은 우유, 라면, 식용유, 식빵을 보관방법을 지켜서 관리하는 경우 소비기한과 유통기한을 비교한 것입니다.
식품 | 유통기한 | 소비기한 |
우유 | 14일 | 45일 |
라면 | 5개월 | 8개월 |
식용유 | 2년 | 5년 |
식빵 | 3~5일 | 20일 |
소비기한이 생각보다 길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하지만 우유 등의 유제품은 국내 유통라인 등의 문제로 2023년에 소비기한 표시되지 않고 2031년 유통라인 문제가 해결되면 소비기한이 표시될 예정이라고 합니다.
소비기한 표시되면 달라지는 것들
우선 그동안 유통기한 지나면 버려지던 식품들이 줄어들어 음식물쓰레기의 양이 줄어들 것으로 예상되며 식품의 제조, 유통, 환경이 개선됩니다. 그리고 대부분의 나라에서 소비기한 표시를 의무화하고 있고 국제식품규격위원회 역시 소비기한 표시를 권고하고 있습니다.
2023년부터 본격적으로 시행되는 소비기한 표시제도 식품에 한 줄의 날짜가 더 표시되는 것이지만 그로 인해 우리들의 생활은 한 단계 더 발전할 수 있습니다. 다만 소비기한 제도가 안정적으로 적용되려면 결국 더욱 안전한 식품 생산과 절 처한 유통관리가 필요한 것이 사실입니다. 그리고 소비자 역시 식품 관리에 대해 정확히 알고 관리하는 습관도 더불어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