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밸브가 지난 7월 15일 스팀 덱(Steam Deck)이라는 휴대용 게임기를 공개했습니다. 말 그대로 스팀에서 서비스 중인 게임은 휴대용 게임기에서 어디서든 플레이 가능하다는 것인데요. 기사에 따르면 데스 스트랜등도 옵션 설정에 따라 자연스러운 플레이가 가능하다고 합니다. 많은 기사에서 닌텐도 스위치의 경쟁 모델로 말하기도 하는데 과연 어떤 제품인지 알아보겠습니다.

 

스팀덱-홈페이지-소계이미지

스팀 덱(Steam Deck)

스팀처럼 게임을 스트리밍 하는  방식이 아닌 기기 다운로드 한 게임을 구동하는 방식으로 동작하며 스위치처럼 독으로 모니터 및 TV 연결하여 플레이 가능하며 4K, 8K 해상도를 지원합니다. 공식 스펙은 이전 세대 콘솔 XBOX One S와 PS4의 중간 정도의 성능을 보여 줄 것이라고 합니다. 하지만 짧은 배터리 타임으로 고사양의 게임을 하기 위해서는 보조 배터리가 필수입니다.

 

 

상세 스펙

항목 정보
CPU AMD ZEN 2
GPU RDNA 2 CU 1.0- 1.6GHz
RAM 16GB DDR5
저장공간 64GB, 256GB, 512GB, MicroSD 슬롯 1개
디스플레이 7인치 16:10 비율 WXGA(1280x800) 60Hz 400nits LCD (216 ppi), 4k 120Hz, 8K 60Hz
사운드 스테레오 스피거, 듀얼 마이크
배터리 최대 8시간
크기 298mm x 117mm x 49mm
무게 669g

장점

스팀 덱의 장점은 스팀 계정 연동이 가능하다는 것인데 그로 인해 현재 스팀에서 서비스 중인 게임을 플레이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콘솔에서 불가능 한 스카이 림 등의 게임에서  모드를 통한 플레이가 가능하다는 것과 커뮤니티를 통한 한글화 지원 패치도 가능하다는 것이 장점입니다. 그리고 기존 7인치 PC 및 휴대용 게임기 대비 가성비가 뛰어납니다.

단점

비교 대상인 닌텐도 스위치에 비해 200g 이상 무겁다는 것이 단점이며 스팀이 PC 게임 서비스하다 보니 콘솔게임처럼 기기에 최적화해서 게임을 출시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최적화 게임이 없을 수 있으며 게임 서비스이기 때문에 스팀 덱 만의 독점 게임이 없습니다. 그리고 짧은 배터리 타임이 문제가 될 수 있어 독에 거치해서 플레이해야 한다면 굳이 게임의 성능을 나춰가며 불편하게 게임을 하지 않을 것 같습니다.

 

 

가격

  • 64GB 모델 (eMMC) - 399 달러(약 45만 원)
    • 휴대용 케이스
  • 256GB 모델 (NVMe SSD) - 529 달러(약 60만 원)
    • 고속 저장공간
    • 휴대용 케이스
    • Steam 커뮤니티 프로필 독점 꾸러미
  • 512GB 모델 (NVMe SSD) - 649 달러(약 75만 원)
    • 고속 저장공간
    • 휴대용 케이스
    • Steam 커뮤니티 프로필 독점 꾸러미
    • 프리미엄 반사 방지 유리
    • 전용 가상 키보드 테마

 

스팀덱-소계-이미지

 

스팀 덱은 오는 12일 캐나다, 유럽, 영국 등 지역에 우선 출시하고 글로벌 출시는 2022년 예정되어 있습니다. 이 게임기에 대해서는 찬반이 많이 갈리고 있습니다. 이유는 다양하지만 결국 개인의 취향일 수 있습니다. 개인적인 생각은 있으면 좋고 없어도 그만(?) 인 것 같습니다. 이유는 콘솔게임을 좋아하는 것도 있지만 위 단점처럼 최적화가 걸림돌입니다. 스팀 덱의 스펙에 맞춰 게임 옵션 설정하고 플레이하는 것이 개인적으로 가장 마음에 들지 않네요. 하지만 새로운 기기는 언제나 관심이 갑니다.

 

 

반응형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