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부터 시행되는 대한민국의 육아지원 3 법 개정안은 육아휴직 기간 연장, 배우자 출산휴가 확대, 근로시간 단축 강화 등 다양한 혜택을 제공합니다. 이번 개정은 특히 부모가 일과 육아를 병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해 마련되었으며, 다른 나라의 육아 정책과 비교해도 주목할 만한 변화로 평가됩니다. 오늘은 개정된 육아지원 3 법의 핵심 내용과 더불어 스웨덴, 독일, 일본, 호주의 육아 정책과 비교해 보겠습니다.
육아지원 3법과 나라별 육아 정책
2025년 시행되는 육아지원 3 법 개정안은 육아휴직과 출산휴가, 근로시간 단축등의 기간이 늘 아나게 되었습니다. 개정된 이 정책은 과연 다른 나라들과 비교했을 때 얼마나 좋아졌을지 한번 살펴보겠습니다.
대한민국 육아지원 3 법 개정 주요 내용
- 육아휴직: 최대 1년에서 1년 6개월로 연장.
- 부모 모두 사용 시 추가 혜택.
- 배우자 출산휴가: 10일에서 20일로 확대.
- 사용 기간 및 분할 사용 가능 횟수 증가.
-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
- 자녀 연령 기준을 만 8세 이하에서 12세 이하로 확대.
- 최대 사용 기간도 2년에서 3년으로 증가.
2024.12.10 - [공공정보/교육] - 2025년 시행될 육아지원 3 법, 무엇이 달라지나?
2025년 시행될 육아지원 3법, 무엇이 달라지나?
2025년 시행 예정인 육아지원 3 법(남녀고용평등법, 고용보험법, 근로기준법)은 부모의 육아와 직장생활의 균형을 돕기 위해 개정됩니다. 육아휴직과 근로시간 단축, 배우자 출산휴가 등에서 큰
workoff-dad.tistory.com
글로벌 육아 정책과 비교
스웨덴, 독일, 일본 그리고 호주의 주요 육아지원 정책을 살펴보겠습니다.
- 스웨덴
스웨덴은 세계적으로도 선진적인 육아 정책을 시행 중입니다. 부모에게 동일하게 총 480일(약 16개월)의 육아휴직을 제공하며, 양측이 최소 3개월씩 사용할 경우 추가 보조금이 지원됩니다. - 독일
독일은 육아휴직 급여를 최대 14개월 동안 지원하며, 부모 양측이 균등하게 사용할 경우 인센티브를 제공합니다. 또한, 자녀가 만 3세가 될 때까지 근로시간 단축을 보장해 육아와 직장 생활의 균형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 일본
일본은 출산 및 육아 지원금을 포함한 포괄적인 정책을 운영하며, 지방정부를 통해 육아 용품 구입비와 보육 서비스 이용료를 지원합니다. 이는 출산 후 초기 육아에 필요한 경제적 부담을 덜어줍니다. - 호주
호주는 부모 중 한 명이 최대 18주 동안 최소 임금을 지원받으며, 각 주별로 다양한 보육비 보조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대한민국은 육아휴직 기간과 근로시간 단축 등에서 스웨덴이나 독일과 유사한 수준으로 개선되고 있으나, 부모 모두가 균등하게 혜택을 누릴 수 있는 장치가 아직 부족합니다. 또한, 보육 서비스 비용 보조나 재정적 지원 확대는 일본과 호주에 비해 추가 개선이 필요한 부분으로 보입니다.
육아지원 3 법 개정안은 대한민국이 일과 가정의 균형을 이루는 방향으로 한 걸음 더 나아가는 중요한 정책입니다. 다른 선진국과 비교해 볼 때, 여전히 개선할 여지는 있지만, 부모 모두가 육아에 적극 참여할 수 있도록 하는 방향성을 가진 점에서 큰 의미가 있습니다. 앞으로 이 제도를 통해 육아 환경이 더 나아지길 기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