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주요 사립대학들이 10년 넘게 유지해 온 등록금 동결 기조를 깨고 올해 학부 등록금을 인상하기로 결정했습니다. 등록금 인상률은 대부분 5% 내외로, 이는 교육부가 정한 인상 상한선(5.49%)에 근접한 수준입니다. 전국적으로 대학 등록금 인상 행렬이 이어지는 가운데, 각 대학들은 재정난 해소와 인프라 투자 필요성을 이유로 이번 인상을 결정한 것으로 분석됩니다.
등록금 인상 결정 대학 현황
2025학년도 대학 등록금 인상이 큰 폭으로 확대되고 있습니다. 전국 4년제 대학 약 50곳이 2025학년도 등록금 인상을 확정했으며, 이는 전년도 26개 대학의 2배에 가까운 수치입니다. 더욱이 등록금심의위원회를 진행 중인 대학들의 동향을 고려하면, 올해 등록금을 인상하는 대학이 70곳을 넘어설 것으로 전망됩니다.
서울 주요 대학 등록금 인상률
서울 주요 대학들은 2025학년도 학부 등록금을 평균 4.85%에서 5.49%까지 인상했으며, 고려대(5.00%), 연세대(4.98%), 성균관대(4.90%), 한양대(4.90%) 등 다수의 대학이 5% 내외의 인상률을 보였습니다. 이화여대(3.10%)를 제외한 대부분의 대학이 4% 후반~5% 초반 수준에서 등록금을 조정했으며, 현재까지 수도권 및 비수도권을 포함한 약 50개 대학이 등록금 인상을 확정했습니다.
- 경희대: 5.10%
- 고려대: 5.00%
- 국민대: 4.97%
- 동국대: 4.98%
- 서강대: 4.85%
- 서울시립대: 5.49%
- 성균관대: 4.90%
- 연세대: 4.98%
- 이화여대: 3.10%
- 중앙대: 4.95%
- 한국외대: 5.00%
- 한양대: 4.90%
이외에도 수도권 및 비수도권 국공립·사립대를 포함해 현재까지 약 50개 대학이 등록금 인상을 확정했습니다.
등록금 인상 배경
수도권 대학을 중심으로 등록금 인상을 할 수밖에 없는 이유는 뭘까요? 학생수 감소와 고물가등의 영향으로 많은 대학들이 재정난을 겪고 있기 때문입니다. 많은 사립대학들이 심각한 재정난을 겪고 있어, 정부의 장학금 지원을 포기하고라도 등록금을 인상하는 것이 유리하다고 판단하고 있습니다
대학 재정난 해소 필요성
대학들은 지난 17년간 등록금을 동결해 왔으며, 이로 인해 인프라 투자와 교육환경 개선에 어려움을 겪어 왔습니다. 한 사립대 관계자는 "등록금을 올리지 못해 학교 운영에 어려움이 많았다"며 "이번 기회를 통해 최소한의 재정을 확보하려는 절박한 심정"이라고 밝혔습니다.
교육부의 페널티 우려 감소
기존에는 교육부의 제재 가능성으로 인해 등록금 인상을 주저했지만, 최근 비수도권 한 대학이 등록금을 올린 후에도 교육부의 재정·행정적 지원을 받은 사례가 나오면서 대학들은 페널티 우려 없이 등록금 인상에 나선 것으로 보입니다.
학생들의 반응과 우려
학생들의 부담 증가
등록금이 평균 4.9% 인상됨에 따라, 학생 1인당 연간 15만~40만 원가량 추가 부담이 발생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학생들은 "등록금 인상이 불가피한 것은 이해하지만, 경제적 부담이 커진다"며 우려를 표하고 있습니다.
대학 인프라 개선 기대
일부 학생들은 등록금 인상으로 인해 교육 환경과 시설이 개선될 것을 기대하고 있습니다. 실제로 대학들은 확보된 재정을 인프라 확충, 연구 환경 개선 등에 투자할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향후 전망
정부의 추가 지원책이 마련되지 않는다면, 등록금 인상 추세는 지속될 가능성이 큽니다. 특히 최근 내란획책 계엄사태로 인한 정부 리더십 약화와 조기대선 가능성은 대학들의 등록금 인상 결정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향후 정부와 교육부의 대응이 주목되며, 이는 대학 등록금 인상의 전국적 확산을 결정짓는 중요한 요인이 될 것입니다.
등록금 인상 도미노 현상
현재까지 50개 대학이 등록금 인상을 확정했으며, 이는 전국적으로 확산될 가능성이 큽니다. 특히 일부 대학에서는 이미 3일부터 수강 신청이 시작되는 등 학내 일정이 진행되면서 등록금 인상 결정이 마무리될 전망입니다.
정부 및 교육부 대응 여부
대학 등록금 인상이 전국적으로 확산됨에 따라, 교육부의 대응이 주목됩니다. 정부 차원의 추가 지원책이 마련되지 않는다면, 등록금 인상은 지속될 가능성이 큽니다.
서울 주요 대학을 포함한 전국 대학들이 재정난 해소를 이유로 등록금 인상을 결정하면서, 학생들의 부담 증가와 교육 환경 개선 사이에서 논란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향후 정부의 대응과 대학의 재정 운영 방식이 중요한 변수가 될 것으로 보이며, 학생들과의 원활한 협의가 필수적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