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자동차를 처음 사면 번호판을 부여받고 나면 도로 위의 차들의 번호판에 관심이 많이 생깁니다. 특히 요즘처럼 다양한 색과 서로 다른 모양의 번호판들이 많이 눈에 뛰고 있습니다. 이 것은 차량의 종류가 다양해지고 차량 역시 증가하면서 관련 법이 개정되는 과정에서 다양해졌기 때문입니다. 그럼 이 자동차번호판의 종류 그리고 번호의 의미를 한번 정리해 보려고 합니다. 행당 정보는 위키백과를 참고하였습니다.
목차
번호판의 종류
우리나라는 번호판 색상에 따라 차량의 용도를 구분합니다. 일반, 영업용, 외교, 친환경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 일반차량
- 흰색 바탕에 검정 글씨
- 숫자와 한글 기호가 포함되어 있음
- 영업용 차량
- 노란색 바탕에 검정 글씨
- 숫자와 한글 기호 그리고 지역명이 포함되어 있음
- 외교용 차량
- 감청색 바탕에 하얀 글씨
- 2글자와 숫자가 포함되어 있음
- 친환경 차량
- 하늘색 바탕에 검정 글씨
- 숫자와 한글기호 그리고 친환경 차량 마크 포함
- 건설용 차량
- 자가용
- 녹색 바탕에 하얀 글씨
- 지역 한글기호 숫자가 포함되어 있음
- 사업용
- 주황 바탕에 하얀 글씨
- 영업 표시 모양과 지역명, 숫자와 한글 기호 포함
- 관용
- 하얀 바탕에 검정 글씨
- 지역 한글기호 숫자가 포함되어 있음
- 자가용
- 군용
- 군 작전용 차량에는 번호판을 부착하지 않음
- 민수용 차량에 하얀 바탕 검정 글씨
- 용도에 따라 국(국방부 및 직할부대), 합(함동 참모본부 및 직할부대), 육(육군), 해(해군, 해병대), 공(공군) 글자와 숫자가 포함됨
번호판의 의미
번호판은 '12가 1234' 또는 '123가 1234'로 되어 있습니다. 2019년 9월에 관련 범이 계정 되어 앞자리가 3자리로 바뀌었습니다. 신규 차량 또는 운전자가 변경 신청을 하는 경우 번호판 변경이 가능합니다.
번호판은 [차량의 정보를 나타내는 2-3자리 숫자] + [차량의 용도를 나타내는 기호] + [임의의 4자리 숫자]로 구성됩니다.
- 차량의 정보
- 01 ~ 69 : 승용차
- 70 ~ 79 : 승합차
- 80 ~ 97 : 화물차
- 98, 99 : 특수차
- 100 ~ 699 : 일반, 대여, 군용
- 차량의 용도
- 비영업용 : 가, 나, 다, 라, 마, 거, 너, 더, 러, 머, 버, 서, 어, 저, 고, 노, 도, 로, 모, 보, 소, 오, 조, 구, 누, 두, 루, 무, 부, 수, 우, 주
- 영업용
- 일반 : 아, 바, 사, 자
- 택배 : 배
- 렌터카 : 하, 허, 호
- 군용
- 공 : 공군
- 해 : 해군, 해병대
- 육 : 육군
- 합 : 합동참모본부
- 국 : 국방부
- 관용
- 외교 : 외교관
- 영사 : 영사용
- 준위 : 준외교관용
- 준영 : 준영 사용
- 국기 : 국제기구
번호판의 역사
- 1910년 : 번호판을 처음 사용되었던 시기
- 1921년(예시 : 서울 11-1234): 번호판의 규격을 검은 바탕에 하얀 글씨로 정의
- 1973년 4월(예시 : 서울 1가 1234) : 현재와 같은 구조의 번호판 조합방식으로 개정되며 사용되기 시작했습니다. 이 시기의 번호 판은 [등록지역] + [차종 기호] + [용도기호] + [일련번호]의 형식으로 구성되었습니다. 이 당시에는 차종 기호에 외제차를 나타내는 0이 포함되어 있었습니다.(차종 기호 : 외제차(0), 승용차(1,2,3,4), 승합차(5,6), 화물차(7,8), 특수차(9)
- 1996년 1월(예시 : 서울 30 가 1234) : 차종 기호가 번호판에서 사라지게 되었으며 대신 용도기호가 지금의 2자리 코드로 정해졌습니다.
- 2004년 1월(예시 12 가 1234) : 전국 번호판 시대가 시작되었습니다. 번호판 앞에 표시되었던 등록지역이 사라지면서 번호판 식별이 더욱 쉬워졌습니다.
- 2006년 11월 : 지금의 흰색 바탕에 검은색 글씨의 번호판이 적용되었습니다.
- 2017년 6월 : 친환경 자동차가 보급되며 구분하기 위해 하늘색 바탕에 검정색 글씨의 친환경 차량 번호판이 등장했습니다.
- 2019년 9월(예시 : 123 가 1234) : 차량정보를 표시하는 앞번호가 2자리에서 3자리로 추가되었습니다. 이유는 2자리로 더 이상 표기 가능한 차량 등록 수를 넘어섰기 때문입니다.
2019년 새롭게 '반사필름식 번호판'이 새로이 추가 되었습니다. 이 번호판은 번호판 왼쪽에 파란색 바탕에 태극 문양과 국가 엠블럼 그리고 'KOR'이 적혀 있습니다. 이 번호판의 경우 재귀반사식 필름이 부착되어 야간에 시인성이 좋은 것이 특징입니다. 이처럼 이대가 바뀌며 번호판 역시 발전합니다. 저 역시 관심 없었는데 최근 다양 해지 차동차 번호판을 보고 궁금해서 한번 정리해 보았습니다.
반응형